본문 바로가기

리눅스

(6)
리눅스 소유권 chown 권한, 링크, 소유권 변경, 터미널종료시 서버유지 sudo를 걸고 touch로 파일을 만들면 root 소유자, 그룹으로 만들어진다. sudo를 안걸고 만들면 사용자(ubuntu) 권한으로 만들어진다. 폴더아니고 파일 권한 - 폴더인지 아닌지 폴더면 d rw- root사용자의 권한 즉 6 r-- 그룹 사용자의 권한 4 r-- 그외 모든 이용자 권한 4 소유자, 그룹 바로가기 1개 씩 있는 걸 알 수 있다. file1은 내 권한 없으니까 sudo붙이고 sudo ln 파일명 ../ 링크명 file1.txt를 상위 폴더(../)에 만들었더니 1이였던 숫자가 2로 되었다. 확인해보니 링크가 만들어짐 저 4자리 숫자는 용량 키로바이트 단위 소유권 변경 chown file1.txt의 소유권이 root한테 있다는 걸 ..
리눅스 - 파일 이동 , 복사 / 폴더 생성, 삭제 cp, mv, tab, rm, which, whereis랑 find 차이 putty로 aws접속하기 파일 전송 pwd 폴더 만들기 mkdir javalb 지금 내 위치는 안 중요해요. cp /home/ubuntu/src/HelloWorld.java javalab 복사하겠다 대상 위치 ls cd .. 상위경로로 이동 mkdir springlab ls cp HelloWorld.java springlab/Hello.java HelloWorld.java 를 안 되는 경우는 Hello.java에 r권한이 없을 때 해당 폴더로 들어가는 거 자체가 실행권한있어야 할 수 있는 거임. cd ~/src mkdir reactlab 이 폴더으로 HelloWorld.java를 이동시키자 mv HelloWorld.java reactlab ls mkdir rav ls cd +tab +tab 자동 완성하..
리눅스 cd ~/() ls - al 모든 파일의 리스트보기 clear 출력창 비우기 $ 변수 home ubuntu 로 가는방법 여러가지 home폴더로 가는 방법 $home cd ~/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 mkdir src 빈파일 생성하는 명령어 touch HelloWorld.java 빈 파일 만드는 방법은 touch 한가지가 맞나?? 버전 확인하는 명령어 3가지=> 깔려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. 1. nano -V nano 에티터 버전 확인하는 방법 명령어 2. mySQL --version 이렇게 버전을 확인 한다는 건 이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다는 것 3. nano -v vim이라는 에디터 -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에디터 vim a.txt 으로 들어가는 명령어?? INSERT 명령어 는? ESC키 : 거기서 나오기 :q! ..
리눅스 su root, sudo passwd root, date, hostname, pwd, ls 최고관리자 비밀번호가 없이 만들어진다 왜냐면 rsa로 만들어 지니까 최고 관리자 root 가 있는데 비번 없어 su root : 최고관리자 root로 이동하는 명령어 root비번 만들려고 권한주자 sudo passwd root 비번 적자 또 clear하고 다시 우분투로 이동 리눅스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만 가짐 = / 캠핑장 = 리눅스 구역 = 디렉토리 임대 = 마운드 임대후 반납 = 언마운트 같은 목적의 파일들은 각각 같은 폴더에 일관되게 모아져 관리됨. 예) 실행폴더, 임시폴더(temp)... 라이브러리들은 lib폴더에 있을 거겠죠 내부에 while문이 있어서 계속 돌고 있는 프로세스 = 데몬 프로세스 크론 : 알람시계같은 거 / 특정 시간에 어떤 일이 일어나게 해주고. 윈도우 등 OS 가 크론을 들..
리눅스 하고 나서 제일 먼저 해야하는 것 최신버전으로 셋팅해야한다. sudo apt-get update sudo apt-get upgrade ->y sudo apt-cache search 찾고싶은 것(mysql, oracle.....)
리눅스 ubuntu Editor들 초보자는 nano 가 편함 vi는 기본 Editor 로 깔려있음. 쉬운 nano 환경변수 설정 다른 파일 cd ~/ pwd ls 자바 버전 보기 서버세팅 할 줄알아야함 1. jdk설치 2. nano Helloworld.java (나노 들어가기) 다 작성하면 빠져나올때 Ctrl + X 저장하고 나가기 3. 컴파일 -> 실행 4. Github 저장소 생성 5. 윈도우 -> 자바프로젝트 -> main문 포함된 RandomAPP 6. Github -> 배포 7. 리눅스 Git clone